발뒤꿈치에 찌릿한 통증이 있다면 족저근막염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 족저근막염에 도움이 되는 운동화까지 확인해보세요.
목차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이란 발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 연결된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합니다.
족저근막염은 이 근막에 반복적인 손상과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발뒤꿈치 통증의 원인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침에 첫 발을 내디딜 때 발뒤꿈치 안쪽이 심하게 아픕니다.
- 오래 앉았다가 다시 걷기 시작할 때 찌릿하거나 뻐근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하루 일과가 끝날 때쯤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원인
족저근막염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 평발 또는 아치가 높은 요족
- 급격한 체중 증가
- 무리한 운동 (갑작스런 마라톤, 등산 등)
- 딱딱한 신발, 쿠션이 없는 구두
- 장시간 서 있는 환경 (요리사, 간호사, 교사 등)
족저근막염 치료
- 족저근막염은 대부분 자가회복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아무런 관리 없이 회복하려면 6개월에서 최대 18개월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 초기부터 꾸준히 스트레칭과 치료를 병행하면 훨씬 빨리 좋아질 수 있습니다. 방치할수록 무릎, 허리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으므로 통증이 느껴진다면 가능한 빠르게 병원 진료와 생활습관 개선을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칭
족저근막염은 병원 치료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면 좋습니다. 다음 스트레칭을 매일 하면 통증 완화와 예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족저근막 스트레칭 (엄지발가락 당기기)
→ 의자에 앉아 발을 반대편 무릎에 올린 후 엄지발가락을 위로 천천히 당겨 15초 유지 (하루 10회 이상)
종아리 근육 스트레칭
→ 벽을 짚고 종아리를 뒤로 뻗어 30초씩 하루 5회 반복
테니스공 마사지
→ 발바닥 아래 테니스공을 굴리며 하루 2~3회, 2~3분 마사지
운동화
운동화를 바꾸는 것도 족저근막염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족저근막염 완화에 좋은 운동화는 아치를 지지하고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제품입니다.
족저근막염에 추천하는 운동화 브랜드 |
||
---|---|---|
브랜드 | 추천 시리즈 | 대략적인 가격대 |
호카(HOKA) | Bondi, Clifton, Arahi 시리즈 | 15~25만원대 |
아식스(ASICS) | GEL-KAYANO 시리즈 | 12~20만원대 |
뉴발란스 | 990, 1080 시리즈 | 15~25만원대 |
브룩스(Brooks) | Glycerin, Ghost 시리즈 | 14~20만원대 |
스케쳐스 | Arch Fit 시리즈 | 7~15만원대 |
※ 개인의 발 모양과 사용 환경에 따라 착용감이 다를 수 있으니, 가능하면 직접 신어보고 고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 방문
발뒤꿈치 통증으로 족저근막염이 의심된다면 정형외과 또는 재활의학과를 방문하면 됩니다.
병원에서는 간단한 문진과 촉진, X-ray,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초음파 검사만으로 진단 가능하며, 심한 경우 MRI 검사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진단 결과에 맞춰 아래 처방을 받게 됩니다.
- 약물치료: 소염진통제, 필요 시 스테로이드 주사
- 물리치료: 초음파, 전기자극치료(TENS), 냉찜질 등
- 체외충격파 치료(ESWT): 6개월 이상 통증 시 효과적
- 보조기 처방: 족저근막용 특수 깔창, 실리콘 힐컵
-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실패 시 고려 (흔치 않음)
족저근막염 예방법
족저근막염 치료로 통증이 완화된 후에도 언제든지 다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꾸준한 관리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 전후 반드시 발바닥과 종아리 스트레칭하기
- 쿠션과 아치 지지력이 좋은 신발 선택
- 하이힐과 슬리퍼 사용 줄이기
- 적정 체중 유지로 발 부담 줄이기
- 오래 서 있을 때는 중간중간 앉아서 쉬기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쪽 눈 흐릿하다면? | 원인, 예방, 자가진단 등 총정리 (0) | 2025.04.01 |
---|---|
생리 늦어질 때 | 원인, 대처방법, 예방법 총정리 (0) | 2025.03.30 |
홍역 예방접종 시기부터 성인 접종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총정리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