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무

(4)
실존적 공허감과 우울증 공허함을 느끼면 우울증일까?삶의 의미를 잃었다고 느끼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우울 증상을 더 자주 호소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하는 나는 우울증일까? 혹은 우울증으로 진행될까? 실존적 공허감과 우울증의 차이실존적 공허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 의미나 삶의 목적을 상실했을 때 경험하는 깊은 허무감과 무의미함을 뜻한다. 이 개념을 정의한 빅터 프랭클에 따르면, 실존적 공허는 단순한 무기력감이 아니라, 인간이 “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할 때 나타나는 심리적·정서적 상태라고 했다.우울증은 지속적인 슬픔, 흥미 상실, 무기력, 자존감 저하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우울장애로 정의되며,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의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다. 그중 ..
실존적 공허와 소셜미디어 하루의 15%를 소셜미디어에 쓰고 있다마케팅·컨설팅 업체 ‘케피오스(Kepios)’가 발표한 분기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60.6%에 달하는 약 48억8천만 명이 소셜미디어(SNS)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전체 인터넷 사용자 수의 94%에 달하는 높은 비율이며, 매초 신규 사용자가 평균 5.5명씩 증가할 만큼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2023년 기준).전 세계 인구가 하루 평균 소셜미디어에 들이는 시간은 2시간 26분. 이를 수면 시간을 7~8시간으로 가정했을 때, 깨어 있는 시간 중 약 15%를 SNS 활동에 할애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수치 역시 어디까지나 ‘평균’일 뿐이며, 실제로 더 많은 시간을 SNS에 쓰고 있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결국 우리는 매일 같이 깨어 있는 시간의..
실존적 공허의 순간들 A군은 오늘도 “남들보다 뒤처지면 안 된다”라는 다짐으로 아침을 연다. 직장 동료들보다 10분 일찍 출근해 서류를 정리하고, 퇴근 후에는 마치 의무처럼 영어학원으로 향한다. 빽빽한 일과를 끝내고 늦은 밤 혼자 사는 집에 돌아와 가만히 앉아 있노라면, 갑자기 “왜 이렇게 허전하지?” “과연 이렇게 사는 게 맞는 걸까?” 같은 의문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마음 한구석에 스며든 이 공허를 지우려는 듯, 그는 습관처럼 스마트폰을 꺼내 숏츠를 재생한다. 숏츠의 내용이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지만 영상을 넘긴다. 잠깐은 웃음 짓고, 잠깐은 무감각해지려 애써 보지만, 화면 속 빠르게 흘러가는 장면들 사이에서도 허전함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실존적 공허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무의식적 상태사람들은 흔히 “열심히 살아야..
실존적 공허(Existential Vacuum)란? 실존적 공허가 부각되는 시대과거에는 종교나 공동체가 개인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해 주는 역할을 어느 정도 담당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개인주의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개인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안겨 주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많은 사람이 “나는 왜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지 못한 채, 많은 사람들이 실존적 공허(Existential Vacuum)를 경험하고 있다.빅터 프랭클은 이 현상을 “인간이 삶의 의미를 상실했을 때 겪는 근본적 허무감”이라고 정의하면서,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삶 전반의 동력이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현대 사회의 빠른 변화와 압도적인 정보의 홍수, 그리고 개인주의의 심화가 맞물려 이러한 실존적 위기가 더욱 고조..